목차
TIL
- 추상 자료형 : Abstract Data Type
- 쿠버네티스 APIs and Access
- 백준 2869
TIL
매일매일 기록하고 목표치만큼 이뤄내고 있다. 생산성이 점점 좋아지는 것 같다. PS를 제외하고는 3~4시간 내로 끝낸 것 같다.
추상 자료형 : Abstract Data Type
https://valuelog.tistory.com/86
c 구조체에 들어있는 function, 기능(함수)이(가) 구조체에도 포함되는 것을 알았다. 강의를 들으면서, java에 익숙한 나로써는, 구조체가 객체와 동일시되는데 java 객체의 메서드가 계속해서 생각이 났다. 즉, 메서드도 그 객체의 자료형인 것이다.
예를 들어, java class의 car class로 예를 들면, car의 바퀴 수나, 가격 이런 것이 흔히 쓰이는 int 자료형, float 자료형으로 표현된다면 car의 기능, 앞으로 가게 한다거나, 그런 것들이 메서드로 포함된다. 함수(메서드)가 결국은 구조체(class)의 자료형안에 속하는 ADT, Abstract Data Type, 추상 자료형인 것이다.
Car myCar = New Car();
// myCar은 Car 자료형의 instance 이다.
쿠버네티스 APIs and Access
https://valuelog.tistory.com/85
큰 그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 같다. Kubernetes 공식문서를 영어로 뜯어 본다거나, OS를 배운다거나 해야겠다.
Kubernetes API and Access의 첫 강의를 들었다. API서버가 여기서도 Json 기반으로 http 요청을 대부분 처리한다는 것을 듣고 Spring을 공부하면서 웹에서 http 기반으로 통신을 하는 것을 배웠기 때문에 놀라웠다. 아마 국제표준이여서 그런것 같다.
우리가 Kubectl 명령어를 내리면 kube-apiserver에서 내부에서 제어해 API 서버에 접근한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다시 복습해야겠다.
백준 2869
https://www.acmicpc.net/problem/2869
시간 복잡도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문제였다. math의 ceil, 올림을 하는 방법을 배웠다.
import math
up, down, goal = map(int, input().split(' '))
# 낮 2 1 3 2 5
# 밤
count = 0
# while location <= goal:
# location = location + up
# if location >= goal:
# count += 1
# break
# location = location - down
# count += 1
# print(count)
count = (goal - down) / (up - down)
print(math.ceil(count))
문제 풀이 시간 30분 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