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Learned

[TIL] 자료구조 / 연결 리스트의 개념적인 이해, 쿠버네티스 APIs and Access RBAC, 백준 2720 [21-10-27]

목차

TIL

- 연결 리스트의 개념적인 이해

- 쿠버네티스 APIs and Access RBAC

- 백준 2720


TIL

오늘 aws summit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소서도 쓰고 목표했던 점을 모두 이뤄냈다. 이렇게 꾸준히 하자.

 

 

연결 리스트의 개념적인 이해

https://valuelog.tistory.com/92

 

[Data Structures][04-1] 연결 리스트의 개념적인 이해

목차 Chapter 04. 연결 리스트(Linked List) 2 Chapter 04-1: 연결 리스트의 개념적인 이해 - Linked! 무엇을 연결하겠다는 뜻인가! - 예제 LinkedRead.c의 분석 - 초기화 - 삽입 1회전 - 삽입 2회전 - 데이터 조..

valuelog.tistory.com

 본격적으로 연결 리스트 개념을 배워나가고 있다.

 

 노드에 개념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게 되었다. 노드에는 data와 다음 노드를 가리킬 포인터가 선언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노드 구조체가 head,tail,cur이 있으며, 각각이 연결리스트의 핵심요소가 된다.

 

 노드 추가를 위한 동적할당도 하고 해당 노드의 멤버 data와 next 에 각각 readData와 Null을 가리키게 한다. 그리고 이제 readData가 1보다 작을 때까지 쭉 new를 할당하게 된다. tail이 마지막에 추가한 data를 가리키는 셈

 

 데이터 조회 및 삭제가 가장 여기서 이해하는데 오랫동안 시간을 소요한 것 같다. 삭제가 가장 복잡했었다. 해당 노드를 삭제하기 위해 다른 노드를 가리키게 하는 포인터를 선언하고 그 다음 노드를 가리키게 해야만 했다.

 

 연결리스트를 학습했는데, 어려워지면서도 점점 재미있어 지는 것 같다.

 

쿠버네티스 APIs and Access RBAC

https://valuelog.tistory.com/91

 

[Kubernetes] APIs and Access(3)[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목차 Kubernetes APIs and Access(3) -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 Role, Cluster Role - RoleBinding, ClusterRoleBinding - Service Account APIs and Access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 인증..

valuelog.tistory.com

 오늘 개념은 APIs and Access의 개념을 모두 동원해서 실습했었다. RBAC, Access 하기위해서 serviceaccount도 생성하는법도 배웟다. kubectl create role 명령어로 role을 생성하는 것을 실습했었다.

 

 갈수록 쿠버네티스 강의가 어려워지는 것 같다. 이 부분을 이해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영어로된 공식문서를 뜯어봐야하나 쉽기도하고 도서를 구매해서 복습 교재로 활용해야하나 쉽기도 하다.  

 

백준 2720

https://www.acmicpc.net/problem/2720

 

2720번: 세탁소 사장 동혁

각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필요한 쿼터의 개수, 다임의 개수, 니켈의 개수, 페니의 개수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www.acmicpc.net

 첫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다, 구현에는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구현의 핵심은 나누고 나서 지불한 부분은 뺏다는 점이다.

 

n = int(input())
nums = [int(input())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len(nums)):
    tmp_num = nums[i]
    q = int(tmp_num / 25)
    tmp_num -= q * 25
    d = int(tmp_num / 10)
    tmp_num -= d * 10
    n = int(tmp_num / 5)
    tmp_num -= n * 5
    print(q, d, n, tmp_num, sep=" ")

문제 풀이 시간 3 분내외